JAPANIZATION
: 4저(低) 3고(高)의 일상화
4저(低) – 1st. 경제성장률
4저(低) – 2nd. 물가
아베 "디플레 탈피 눈앞" 선언 하루만에 물가 마이너스 성장 - 2015.09.15
4저(低) – 3rd . 금리
4저(低) – 4th . 투자
1고 (高) – 정부부채
국채 발행 규모 추이
1고 (高) – 정부부채
2고 (高) – 고령화
3고 (高) – 양극화
3고 (高) – 양극화
중류 사회 → 빈곤사회
- 1960년 이후 고도경제성장 & 소득 격차 축소
- 1960년대 초반 - 전체의 90% 이상 ‘中流’ 이른바 1억 중류사회
- But 90년대 중반 이후 소득분배 불균형 심화
- ‘중하’ 이하 계층 비율: 28.2%(`96) 33.6%(`06)
일본의 전성기
일본은 어떻게 망가졌는가?
1. 구조조정실패(수출중심->내수중심) : 플라자 합의
2. 자산버블
(GDP는 작은데 주식 및 부동산 시가 총액이 더 크다는 것은 버블!)
3. 삼류 정치 (더럽고 무능한 트라이 앵글)
- 귀여운 사대강 사업? - 22조 원
- 98년 일본의 공공사업지출은? -16조6000억 엔
- 부실채권 : 02년 부실채권 7~8조 엔. 05년 까지 은행부분 부실채권 처리액 118조 엔
- 토목공사 : 94년 콘크리트 제조량 :일본 9,160만 톤, 미국 7,790만 톤
4. 노령화 경제 – (1) 소비가 준다
나이가 들면 소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 성향이 작아진다.
4. 노령화 경제 – (2) 혁신기업이 사라진다
늙은 사람은 혁신 제품에 대한 필요를 잘 느끼지 못한다. 혁신에 대한 수요가 없다.
결론: 일본은 어떻게 망가졌는가
1. 구조조정실패(수출중심->내수중심)
2. 자산 버블
3. 삼류 정치
4. 고령화 경제
→ 앞으로 일본의 전망은 밝지 않다.
<출처: 최진기의 2016 세계 경제 전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