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RSS (Rich Site Summary; originally RDF Site Summary; often called Really Simple Syndication) uses a family of standardweb feed formats to publish frequently updated information: blog entries, news headlines, audio, video. An RSS document (called "feed", "web feed", or "channel") includes full or summarized text, and metadata, like publishing date and author's name.
RSS feeds enable publishers to syndicate data automatically. A standard XML file format ensures compatibility with many different machines/programs. RSS feeds also benefit users who want to receive timely updates from favourite websites or to aggregate data from many sites.
Subscribing to a website RSS removes the need for the user to manually check the website for new content. Instead, their browser constantly monitors the site and informs the user of any updates. The browser can also be commanded to automatically download the new data for the user.
Software termed "RSS reader", "aggregator", or "feed reader", which can be web-based, desktop-based, or mobile-device-based, presents RSS feed data to users. Users subscribe to feeds either by entering a feed's URI into the reader or by clicking on the browser's feed icon. The RSS reader checks the user's feeds regularly for new information and can automatically download it, if that function is enabled. The reader also provides a user interface.
<source: wikipedia>
폭소노비(folksonomy)
A folksonomy is a system in which users apply public tags to online items, typically to aid them in re-finding those items. This can give rise to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ose tags and their frequencies, in contrast to a taxonomic classification specified by the owners of the content when it is published. This practice is also known ascollaborative tagging,social classification, social indexing, and social tagging. However, these terms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than folksonomy. Folksonomy was originally “the result of personal free tagging of information [...] for one’s own retrieval.”. Social tagging is the application of tags in an open online environment where the tags of other users are available to others. Collaborative tagging (also known as group tagging) is tagging performed by a group of users. This type of folksonomy is commonly used in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projects such as research, content repositories, and social bookmarking.
<source: wikipedia>
폭소노미(folksonomy)란 전통적인 분류 기준인 `디렉토리' 대신 `태그'에 따라 나누는 새로운 분류 체계로서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Folk+order+nomos)이란 의미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자유롭게 선택된 키워드를 사용해 구성원이 함께 정보를 체계화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신조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정치, 경제, 문화로 나누는 것과 별도로 박지성, 서울시장후보, 독도의제왕 등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보를 모을 수 있다. 폭소노미가 기존의 분류체계와 다른 점은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개별정보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단위정보를 체계화한다는 것. 주요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면서 정보가 나열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Taxonomy vs. Folksonomy
Taxonomy는 사전적 의미는 주어진 사물이나 생명체등을 분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분류체계를 지칭한다.
아무튼,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을 분류하는 것은 정말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심오한 통찰력이 바탕이 되어 진행하여야 의미있는 분류체계가 확립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기에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택소노미와 폭소노미의 비교
1) taxonomy
‘분류하다’라는 ‘tassein’과 ‘법, 과학’이라는 ‘nomos’의 합성으로 어원은 그리스어이다. 원래는 어원 그대로 살아있는 유기체를 분류하는 과학이란 뜻이지만, 지금은 확장된 의미로서 살아있는 것 뿐만 아니라 무생물, 장소, 사건 등 모든 것을 택소노미 스키마(taxonomy schema)로 분류한 것이 택소노미다. 특히, 택소노미 (taxonomy)는 이미 결정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관계형 네트워크 구조 보다는 트리형의 위계적 구조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포탈이나 웹 사이트에서 카테고리 구조나 사이트 맵은 텍소노미로 데이터를 조직한 것이다.
2) 폭소노미 (Folksonomy)
Folk(people)+order+nomos(law)의 합성어로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이다. 실제 인터넷 유저들은 자유롭게 개별 정보(웹 페이지, 사진, 웹 링크 등)에 의미를 부여하여 카테고리로 정보들을 체계화한다. 각자 분류된 정보들은 웹에서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에 의해서 수정되고 첨가된다. 이런 과정에 의해 정확하게 의미를 전달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정보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폭소노미는 협동적으로 이루어지고, 확장 가능한 라벨링 시스템이다. 흔히 태그(tag)라고 불리는 라벨은 검색을 효과적으로 만든다. 왜냐하면 콘텐츠들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가장 일반적이고, 쉽게 접근 가능하며, 공유하기 쉬운 단어들로 이름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이런 라벨링 과정을 태깅(tagging)이라고 한다.
폭소노미는 대표적인 예로 Flickr와 Del.icio.us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폭소노미의 이점
폭소노미는 택소노미(taxonomy)에 비해 체계적이지 않다. 인터넷의 유저들은 폭소노미 체계를 배워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더 편하고 유용하게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완벽한 분류 체계를 배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텐츠를 카테고리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폭소노미는 확장 가능하고, 유저들이 인터넷 카테고리를 하는 방식에 따라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 폭소노미는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모인 결과이기 때문에 검색에서 적합성을 발휘한다.
<source: 최낙언의 자료보관소, http://www.seehint.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