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국내 총생산)
| ||
1988
|
2015
|
비고
|
1인당 GDP
4,692 달러
|
1인당 GDP
2만 7663 달러
|
7배
|
1인당 GDP 순위 45위
|
1인당 GDP 순위 28위
|
+17 위
|
(GDP, 1인당 GDP가 오른 것이 우리의 삶이 얼마나 나아졌나? GDP는 경제 성장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분배에 대해서는 일절 알 수 없다. 몇몇 기업의 성장으로 인한 국가 경제가 양호하다고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 삼성, 현대만 빼면 위와 같은 수치는 나올 수 없다. 그리고 GDP는 경제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수단이 목표가 되어버린 요즘이다. GDP는 절대적인 수치보다 GDP의 4대요소의 비율이 더 중요하다.)
월급
| ||
1988
|
2015
|
비고
|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
평균 초임 : 332,570
|
대기업 대졸신입 사원
평균 초임 : 2,909,000원
|
9배
|
9급 공무원 1호봉
158,500 원
|
9급 공무원 1호봉
1,274,249 원
|
8배
|
식품
| |||||
1988
|
2015
|
비고
| |||
월드콘
|
300원
|
1108개
|
1500원
|
1939개
|
5배
|
라면
|
100원
|
3325개
|
800원
|
3636개
|
8배
|
소주
|
350원
|
950개
|
1080원
|
2693개
|
3배
|
자장면
|
700원
|
475개
|
5000원
|
581개
|
7배
|
우유
|
110원
|
3023개
|
900원
|
3232개
|
8배
|
바나나(1kg)
|
7000원
|
47kg
|
2000원
|
14554kg
|
31배
|
엥겔지수
|
42%
|
26.5%
|
0.63배 감소
|
생활
| |||||
1988
|
2015
|
비고
| |||
영화
|
3000원
|
110회
|
10000원
|
290회
|
3.3배
|
버스
|
140원
|
2357회
|
1300원
|
2237회
|
9.3배
|
택시기본요금
|
600원
|
554회
|
3000원
|
969회
|
5배
|
PC
|
200만원
|
6개월
|
200만원
|
0.7개월
|
1배
|
그렌저
|
2500만원
|
6년
|
3000만원
|
10.3개월
|
1.2배
|
(의, 식 부문에서 우리의 생활이 나아졌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주거
| |||
1988
|
2015
|
변화율
| |
주택보급률
|
69.4%
|
103.5%
|
1.5배
|
자가점유율
|
51.75%
|
53.6%
|
1.04배
|
(주택보급률의 변화율보다 자가점유율 변화율이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다.)
1988
|
2015
| |
전국평균 월세
|
42,000원
|
전국 평균 월세 56만원 + 월세 보증금 평균 4,850원
|
전국 평균 전세 보증금
|
339만원
|
1억 3,000만원
|
출처
|
85년 11월 주택센서스 분석
|
한국 감정원, 한국 은행안정 보고서
|
부동산
| |||
1988
|
2015
|
변화율
| |
매매가
|
6,500만원
|
11억원
|
17배
|
주택 전세가격변동률
|
26.8%
|
97.4%
|
3.63배
|
은마아파트 매입기간
(택시기사 월수입 기준)
|
12년(43만원)
|
80년(140만원)
|
6.6배
|
(이건 집을 못산다는 이야기다. 의,식의 상황은 개선되었지만 가장 중요한 주거의 문제가 악화되었다. 80년을 일해도 자기 집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다.)
빚
| |||
1988
|
2015
|
변화율
| |
부채
|
165만6천원
|
6,181만원
|
37.3배
|
저축
|
424만 8천원
|
6,470만원
|
15,2배
|
저축률
|
24.7%
|
7.1%
|
0.29배
|
부채 상환에 필요한 기간
(택시기사 월수입 기준)
|
3.85개월
(43만원)
|
44.15개월
(140만원)
|
11.5배
|
<출처: 한국은행>
(1988년도에는 4개월 수입을 통해 빚을 갚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44개월이 넘는 기간 동안 빚을 갚아야한다. 수입을 온전히 빚 면제에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말이다. 빚이 증가하고 그에 비해 저축률은 현저히 떨어졌다. 금리가 낮으니.. 저축을 안하는 것은 현명하다고 볼 수 있긴하다. 나라의 재정 상황도 GDP 대비 부채 비중이 100%가 넘으면 경제가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왔다고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공기업 부채까지 포함하면 80%를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가 발표한 통계 자료에는 공기업 부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일본의 경우 경제 불황과 양적완화, 마이너스 금리 등으로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0%를 넘어섰다.)
희망
|
(경제가 성장할 수록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
1988(삼저 호황)
| |
저금리
|
(지금에 비교하면 금리가 높지만, 그 전에 비해 금리가 낮아졌다.)
|
저유가
| |
저달러
|
(정확히 말하면 플라자 합의에 따른 엔화와 마르크스화 강세에 따른 상대적 달러의 약세)
|
1988
|
2015
|
|
|
공동채의 부재
|
(타국의 경우도 지역공통체가 사라졌지만, 지역 공통체의 역할을 국가가 한다.
지역공동체의 역할 - 탁아, 상호 부조)
불평등 지수
| |||
1985 ~ 1990
|
2010 ~ 2015
|
변화율
| |
지니계수
|
0.287
|
0.302
|
1.05배
|
5분위분배율
|
3.93
|
5.41
|
1.37배
|
상위 10% 소득점유율
|
24.85%
|
44.8%
|
1.8배
|
상대적 빈곤율
|
7.8%
|
14.4%
|
1.85배
|
주가 성장률
|
1988
|
2015
|
결론
|
주거 부담과 빚의 증가, 사라진 공동체, 사라진 희망(절망적인 미래) → 2015년보다 1988년이 더 행복했다고 말할 수 있다
|
<출처: 최진기의 “1988, 우리가 행복했던시간” 강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